물품대금채권의 소멸시효기간은 3년이며, 소멸시효는 가압류로 인하여 중단되고, 소멸시효가 중단된 때에는 중단까지에 경과한 시효기간은 이를 산입하지 아니하고 중단사유가 종료한 때로부터 새로이 진행한다고 민법에서 규정하고 있는데요.
만약 부동산가압류의 경우에는 어느 시점에서 시효중단사유가 종료한 때로 되어 중단된 소멸시효기간이 새로이 진행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는지 고려해보아야 합니다.
가압류하려는 부동산은 특정할 수 있어야 하며, 미등기 부동산도 보존등기가 가능한 경우 가압류할 수 있으며 부동산가압류를 신청하려는 자는 청구채권의 내용, 가압류할 부동산의 표시, 신청취지, 신청이유 등을 적은 부동산가압류신청서 및 가압류신청 진술서를 관할법원에 제출하시면 됩니다.
부동산가압류에 의한 소멸시효중단의 효력에 관하여 판례를 살펴보면 민법에서 가압류를 시효중단사유로 정하고 있는 것은 가압류에 의하여 채권자가 권리를 행사하였다고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가압류에 의한 집행보전의 효력이 존속하는 동안은 가압류채권자에 의한 권리행사가 계속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인데 부동산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은 가압류의 집행보전의 효력이 존속하는 동안은 계속된다고 하여야 할 것입니다.
또한 민법을 보면 가압류와 재판상의 청구를 별도의 시효중단사유로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가압류의 피보전채권에 관하여 본안의 승소판결이 확정되었다고 하더라도 가압류에 의한 시효중단의 효력이 이에 흡수되어 소멸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동산가압류로 인한 집행보전의 효력이 존속하고 있는 동안은 가압류의 피보전채권에 관한 소멸시효는 중단되어 있다고 볼 수 있는데요.
여기서 민사집행법을 참고해보면 가압류가 집행된 뒤에 3년간 본안의 소를 제기하지 아니한 때에는 채무자 또는 이해관계인은 가압류의 취소를 신청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부동산 > 가압류/가처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압류 절차 구제방법 (0) | 2014.07.24 |
---|---|
대구변호사 가처분취소 신청 (0) | 2014.07.08 |
가압류이의신청 소송절차 (0) | 2014.06.10 |
부동산 가압류절차 (0) | 2014.04.08 |
가압류 이의신청서 작성 (0) | 2014.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