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성폭력 대처 방법
어린이 성폭력 대처 방법
최근 들어서 어린이나 아동을 상대로 하는 성폭력이 증가하면서 어린이 성폭력에 대하여 흉악한 범죄로 인식을 하고 있는데요. 성폭력은 성인을 대상으로 해서도 안되지만 어린 아동 성폭력은 더더욱 발생해서는 안 될 문제입니다.
아직 성장하고 있는 어린이를 상대로 성범죄를 저질렀을 때 아동은 커가면서 끊임없이 심리적으로 상처를 가지게 되고 이는 결국 사회에 진출한 성인들에게 2차적인 피해를 남기는 것인데요. 오늘은 이와 관련하여 어린이 성폭력 대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린 아동의 경우 어렸을 때 겪었던 일들이 상처가 되어 커서도 그 피해 의식을 가지며 후유증을 크게 가지고 있는데요. 이 때는 관련 보호자와 주변에서 상처에 대해 보살펴 주면서 후유증을 없앨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어린이 성폭력을 당했을 때는 우울증이나 분리 장애 등 심리적인 장애로 후유증을 겪게 되는데요. 성폭력이라는 범죄에 대해 수치심이나 무력감에 우울증을 겪기도 하며 대게는 범죄가 부모와 분리된 상태에서 발생하였기 때문에 피해를 당한 이후 부모와 떨어져 있는 것을 불안해 할 수 있습니다.
본인의 자녀가 어린이 성폭행을 당했다면 해당 어린이의 부모는 자녀를 위하여 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하는 것이 좋은데요. 우선은 심리적으로 위축이 되지 않도록 자녀에 대하여 격려를 해줘야 하며 자녀를 나무라는 말이나 겁을 주는 행동을 해서는 안됩니다.
또한 어린이 성폭행을 담당하는 기관을 통해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데요. 의료기관이나 상담소에 방문하여 자녀의 피해 현황과 치료를 위하여 도움을 받고 학교에 출석하고 있다면 담임 선생님에게도 협조를 요청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국가에서도 어린이 성폭력 대처 방법을 위하여 피해 아동을 위하여 의료나 수사와 관련하여 지원을 해주고 있는데요. 우선 성폭력 가해자를 수사할 때 성폭력 피해 어린이가 안정을 취할 수 있도록 한 후에 수사를 진행하며 조사를 할 때도 어린이가 위압감에 사로잡히지 않도록 주변 환경을 조성하여 조사를 진행합니다.
피해를 입은 부분에 대해서도 의료나 심리치료 등을 지원해 주는데요. 이 때는 어린이 성폭력 피해자가 신체나 정신적인 문제로부터 회복이 될 수 있도록 성폭력 의료 기관에서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심리적으로도 문제가 발생한 아동에 대해서는 정신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요. 이는 성폭행 피해는 신체 외부적으로 가질 수 있는 문제도 있지만 범죄를 당한 이후 심리적으로 가지게 되는 피해가 더 크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이와 같이 어린이 성폭력 대처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힘이 약하고 지능이 완전하게 발달하지 않은 어린이를 상대로 성범죄를 저지르는 것은 해당 피해자의 인생에 대해 평생 가지게 되는 상처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절대로 저지르지 말아야 하는 범죄입니다. 또한 어린이 성폭력도 역시 범죄에 속하기 때문에 법에 따른 처벌을 받게 됩니다.